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여름철 피부질환 완벽 가이드

by 도그러브 다이어리 2025. 7. 23.
반응형

— 진드기 · 습진 · 알레르기까지, 한여름 반려견 피부를 지키는 과학적 해법 —

 

사람은 더우면 땀을 흘리며 체온을 낮추고 피부를 보호하지만, 강아지는 그렇지 않습니다. 땀샘이 발바닥에만 존재하는 강아지는 체온 조절과 피지 분비의 균형이 매우 섬세하며, 특히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외부 자극에 취약해집니다.

 

이러한 특성은 여름철 다양한 피부질환의 위험 요인이 되며, 방치할 경우 만성화되거나 2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진드기 감염, 습진,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 대표적인 여름철 강아지 피부 질환을 임상적인 관점에서 진단하고, 보호자가 실천할 수 있는 예방법과 관리법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여름철 강아지의 피부질환 대처법 이미지
여름철 강아지의 피부질환 대처법

 

1. 진드기와 외부 기생충 감염

— 피하에 숨어드는 침입자, 어떻게 차단할 것인가?

진드기(tick)는 여름철 산책길이나 잔디밭에서 가장 쉽게 노출되는 외부 기생충입니다. 특히 Ixodes scapularis (검은다리 참진드기) 및 Rhipicephalus sanguineus (갈색 개진드기)는 반려견의 피부에 부착되어 혈액을 흡수하고, 심한 경우 라임병, 아나플라즈마증, 바베시아증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체크리스트

  • 지속적인 귀/몸 긁기
  • 피부에 작은 혹 또는 검은 점 발견
  • 피하 출혈 및 가려움증
  • 갑작스러운 고열, 무기력증

💡 예방법 & 대처법

  • 월 1회 이상 구충제 투여 (피부 도포형 or 경구제)
  • 산책 후 전신 피부 체크빗질
  • 실내 거주 반려견도 기생충 예방은 필수
  • 진드기 발견 시 억지로 제거하지 말고 동물병원 내원하여 제거 후 항생제 처방

2. 습진 (고온다습성 피부염)

— 습기는 피부의 적, 피지선의 폭주를 경계하라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은 피지선과 아포크린샘의 활동을 과도하게 자극해 피부 장벽 기능을 손상시키고, 피부 내 균류(특히 말라세지아)와 세균의 과증식으로 이어집니다. 이는 곧 세균성 습진(Bacterial Dermatitis)이나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 증상 체크리스트

  • 강한 냄새와 함께 피부가 축축함
  • 발가락 사이 붉음 + 분비물
  • 배, 겨드랑이, 턱 아래에 염증성 병변
  • 긁거나 핥는 행동의 증가

💡 예방법 & 관리법

  • **주 1~2회 항균성 샴푸(클로헥시딘 포함)**로 목욕
  • 드라이 완전 건조는 필수 (습기 남기면 악화)
  • 산책 후 발·배·사타구니 등 습기 취약 부위 관리
  • 털이 긴 견종은 부분 미용으로 통풍 확보

 

반응형

3. 알레르기성 피부염 (Allergic Dermatitis)

— 알레르겐, 그 보이지 않는 가시

알레르기성 피부염은 면역 과민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여름철에는 특히 꽃가루, 곰팡이 포자, 먼지 진드기, 모기 등 환경성 알레르겐의 농도가 높아지고, 식이성 알레르기까지 겹칠 수 있어 발병률이 급증합니다.

 

🔍 증상 체크리스트

  • 턱, 눈가, 입주변, 항문 주변 지속적인 긁기
  • 귀 안쪽의 붉음 및 분비물
  • 발가락 핥기 + 털 빠짐
  • 피부가 검거나 딱딱하게 변화 (과색소침착)

💡 예방법 & 대처법

  • 알레르기 유발 음식 회피 (동물병원 알레르기 테스트 추천)
  • 항히스타민제 또는 스테로이드제 사용은 반드시 수의사 처방 하에
  • 침구 및 생활공간 진드기 차단 커버 사용
  • 공기청정기 가동 및 환기 습관화

4. 여름철 피부관리 팁 총정리

— 생활 속 예방 루틴 만들기

피부건강을 위한 생활수칙 TOP 5

  1. 샴푸 후 드라이 완전 건조
  2. 고단백·저알레르기 식단 유지
  3. 에어컨 + 제습기 병행으로 실내 습도 50% 유지
  4. 피부질환 이력 있는 경우 여름철 정기 피부 검진 권장
  5. 산책은 일몰 이후로 조정하고 외부 기생충 예방 철저히

🩺 마무리 

피부는 강아지의 건강을 가장 먼저 알리는 경고등입니다. 가벼운 가려움으로 시작된 문제가 만성 피부염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정기적인 관찰, 위생적 관리, 적절한 예방 접종과 구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여름철은 위험하지만, 예방과 관리만 잘 이뤄진다면 오히려 반려견과의 유대감이 깊어질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피부 질환 예방을 위한 강아지 전용 스킨케어 제품 완벽 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

 

강아지도 전문적인 스킨케어 시대!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