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지식

강아지 초경, 언제 시작되나요?

by 도그러브 다이어리 2025. 8. 14.
반응형

강아지의 초경은 보호자에게 있어 단순히 “첫 생리”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반려견이 성적으로 성숙했음을 알리는 신호이자, 앞으로의 건강 관리와 번식 계획을 세우는 중요한 기준점이 됩니다.

 

보통 생후 6~12개월 사이에 시작되지만, 이는 평균치일 뿐이며 품종, 체중, 성장 속도, 영양 상태, 그리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형견은 대체로 생후 6~9개월 사이에 초경을 맞이하는 반면, 대형견은 12개월 이후에야 시작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초경 시기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신체적·행동적 변화가 동반되는데, 이를 미리 이해하면 보호자가 보다 적절한 위생 관리와 행동 관리, 그리고 건강 검진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첫 발정이 시작되면 원치 않는 교배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책 시 주의가 필요하며, 위생 용품 사용과 함께 심리적 안정도 챙겨야 합니다.

 

따라서 초경의 시기와 특징을 정확히 아는 것은 반려견의 평생 건강과 행복을 지키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 초경, 언제 시작되나요? 이미지

1. 강아지 초경이란?

강아지의 ‘초경’은 암컷 반려견이 처음으로 발정 주기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간의 초경과 개념은 비슷하지만, 강아지의 경우 생리혈이 ‘배란 후 불필요한 자궁내막 탈락’이 아니라 교배를 유도하는 신호의 의미를 가집니다.


즉, 초경은 단순한 생리 현상이 아니라 성적으로 성숙했음을 알리는 중요한 시점이며, 향후 번식 가능 여부와 건강 관리의 출발점이 됩니다.


2. 초경 시작 시기와 품종별 차이

강아지의 초경은 보통 생후 6~12개월 사이에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는 평균적인 수치이며, 품종, 체중, 영양 상태, 건강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       분 초경 시작 평균 시기
소형견 (예: 말티즈, 치와와, 요크셔테리어) 6~9개월
중형견 (예: 비글, 코커스패니얼, 보더콜리) 7~12개월
대형견 (예: 리트리버, 시베리안 허스키) 10~15개월
초대형견 (예: 그레이트데인, 세인트버나드) 12~18개월

멘토 팁: 대형견일수록 성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초경이 늦게 올 수 있습니다. 보호자는 조급해하지 말고 건강 상태를 꾸준히 관찰하세요.


3. 초경 전 나타나는 예고 신호

초경이 다가오면 강아지의 몸과 행동에 변화가 나타납니다. 보호자가 미리 알고 있으면 위생 준비, 행동 관리, 건강 체크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1) 신체적 변화

  • 외음부가 평소보다 붓고 색이 붉어짐
  • 소변 마킹 횟수 증가
  • 잦은 그루밍(외음부를 핥는 행동)

(2) 행동적 변화

  • 산책 중 다른 개, 특히 수컷에게 더 관심
  • 평소보다 예민해지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애교 부림
  • 식욕 변화(증가 혹은 감소)

 

반응형

4. 발정 주기 이해하기

강아지의 발정 주기는 평균 6~8개월 간격으로 돌아오며, 한 번의 발정 기간은 보통 2~3주 정도 지속됩니다.


 

단   계 기   간 특     징
전발정기 (Proestrus) 약 7~10일 외음부 부종, 혈성 분비물 시작, 수컷 관심 증가하지만 교배 거부
발정기 (Estrus) 약 5~10일 분비물 색이 옅어짐, 교배 허용, 배란 시기
후발정기 (Diestrus) 약 2개월 교배가 없으면 호르몬 안정화, 임신 시 태아 발육
휴지기 (Anestrus) 약 4~5개월 발정 징후 없음, 몸이 회복되는 시기

중요 포인트: 초경이라도 배란이 가능하므로 원치 않는 임신을 막으려면 발정기 동안 외출·산책 시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5. 초경 시기의 건강 관리 포인트

  • 위생 관리: 강아지 전용 생리팬티 착용, 하루 2~3회 교체
  • 심리 안정: 갑작스러운 호르몬 변화로 예민해질 수 있으니 부드럽게 대하고, 큰 소음·스트레스 요인 최소화
  • 영양 보충: 단백질과 미네랄, 비타민 B군 섭취를 늘려 면역력 유지
  • 수의사 상담: 첫 발정 전후로 기초 건강검진을 받아 호르몬·자궁 상태 확인

6. 보호자가 알아야 할 오해와 진실

  1. “초경이 오면 바로 교배 가능하다?” → NO
    첫 발정 때는 신체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임신·출산 위험이 높습니다.
  2. “중성화는 초경 전에 해야 한다?” → 경우에 따라 다름
    일부 연구에서는 초경 전 중성화가 유방 종양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하지만, 골격 발달·행동 변화 등의 단점도 있어 수의사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3. “출혈이 없으면 발정이 아닌가?” → NO
    일부 개체는 출혈이 적거나 거의 없지만, 호르몬 변화와 배란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7. 맺음말

강아지 초경은 단순히 ‘첫 생리’가 아니라, 보호자가 앞으로 건강, 위생, 행동 관리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특히 첫 발정 시기를 기록해 두면, 이후 발정 주기를 예측하고 중성화 시기, 번식 계획, 건강 검진 주기를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 편에서는 〈강아지 초경 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을 주제로, 보호자가 놓치기 쉬운 행동·신체 변화를 구체적으로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