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대 이집트 개3 명견(名犬)에 얽힌 스토리텔링: 이집트 파리아 도그 – 나일강이 처음 품은 반려의 기억 나일강이 처음 품은 반려의 기억:물이 흐르는 곳에 마음이 머무르고, 마음이 머무른 자리에 개가 있었다 나일강의 새벽은 고요합니다. 먼 동쪽에서 떠오르는 햇빛이 강 표면을 황금빛으로 비추면, 강변의 마을은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하늘과 물의 숨결을 받습니다. 바람은 모래 위를 천천히 스치고, 멀리서 깨어난 새들이 한두 마리씩 하늘을 가릅니다. 이곳 사람들에게 하루란 언제나 ‘흐름’ 으로 시작했습니다.어제도 흘렀고, 오늘도 흐르고, 내일도 흘러갈 강처럼 삶은 자연의 호흡 안에서 이어졌습니다. 그 고요한 새벽 풍경 속, 강가를 따라 조용히 걷는 그림자 하나가 있었습니다.사람처럼 보이지만, 다리가 넷입니다.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면, 그 실루엣이 이집트 파리아 도그, 즉 고대 이집트인들이 “테셈(Tesem).. 2025. 10. 27. 〈강아지 견종 A to Z〉 27편: 이집트·수단의 토종견 – 기록으로 남은 ‘가장 오래된 동행’ “개와 인간의 동행이 처음으로 역사에 새겨진 땅”나일강이 흐르는 이집트와 수단의 황톳빛 대지는, 인간과 개가 ‘함께 산다’는 개념이 처음으로 기록된 땅입니다. 이곳의 토종견들은 단순히 사냥이나 경비를 수행한 존재가 아니라, 인간 사회의 일부로 가장 먼저 편입된 동행자였습니다. 고대 이집트 벽화에는 사람들이 개와 함께 사냥하는 장면뿐 아니라 방 안에서 함께 거주하고, 주인의 침상 아래서 쉬는 모습까지 표현되어 있습니다. 수천 년 전부터 이미 개는 ‘도구’가 아니라, 인간 곁에 자리를 부여받은 생명이었습니다. 문자도 없고 기록도 없던 시대, 개는 그저 자연 속을 떠돌았지만, 이집트 문명에 이르러서는 사람의 삶 속 한 주체로 등장합니다. 개가 인간 곁을 떠나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인간이 개와 함께 살기로 선.. 2025. 10. 23. 명견(名犬)에 얽힌 스토리텔링: 스페인 이비전 하운드 – 파라오의 개가 스페인 이비사 섬에 남다 파라오의 개가 스페인 이비사 섬에 남다 지중해의 태양 아래 붉은빛과 흰색이 어우러진 날렵한 몸, 커다란 귀를 세우고 사냥감을 응시하는 개. 이 모습은 고대 이집트 파라오의 무덤 벽화에서도, 그리고 오늘날 스페인 이비사 섬의 초원에서도 똑같이 발견됩니다. 바로 이비전 하운드(Ibizan Hound), 스페인 토종견 중에서도 가장 신비로운 역사를 간직한 견종입니다. 수천 년 전, 페니키아 상인들의 배를 타고 지중해를 건너왔다는 전설을 지닌 이 개는, 고대 왕국의 권력 상징이자 현대 사냥꾼의 동반자로 살아남았습니다. 이번 이야기는 시간을 초월해 파라오에서 농부까지 이어진 이비전 하운드의 여정을 따라가 봅니다. 1. 파라오의 개, 지중해로 건너오다이비전 하운드는 흔히 “살아 있는 파라오의 개”라 불립니다. 그 .. 2025. 9.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