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단 토종견2 명견(名犬)에 얽힌 스토리텔링: 수단 누비안 사막견 – 떠나지 않는 용기, 이동하는 삶을 지킨 그림자 떠나지 않는 용기, 이동하는 삶을 지킨 그림자 나일강 상류, 수단 북부의 모래바람이 일어나는 사막 지대는 낮과 밤이 전혀 다른 얼굴을 가진 땅입니다. 태양이 있을 때는 뜨겁고 황량하지만, 해가 지고 달이 뜨면 깊고 끝없는 고요가 내려옵니다.이곳에서 사람들은 늘 이동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강이 범람하면 더 높은 지역으로, 풀과 물이 줄어들면 더 먼 강가로. 정착이 아닌 “옮겨가는 삶”이 일상이었습니다. 그 여정의 끝마다, 언제나 함께 머무르던 존재가 있었습니다. 그가 바로 수단의 누비안 사막견입니다. 이 개는 사람을 소유하지 않았고, 사람도 이 개를 소유하지 않았습니다. 사막의 바람 속에서 시작된 동행이 개는 사람을 소유하지 않았고, 사람도 이 개를 소유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그 무리의 곁”.. 2025. 10. 27. 〈강아지 견종 A to Z〉 27편: 이집트·수단의 토종견 – 기록으로 남은 ‘가장 오래된 동행’ “개와 인간의 동행이 처음으로 역사에 새겨진 땅”나일강이 흐르는 이집트와 수단의 황톳빛 대지는, 인간과 개가 ‘함께 산다’는 개념이 처음으로 기록된 땅입니다. 이곳의 토종견들은 단순히 사냥이나 경비를 수행한 존재가 아니라, 인간 사회의 일부로 가장 먼저 편입된 동행자였습니다. 고대 이집트 벽화에는 사람들이 개와 함께 사냥하는 장면뿐 아니라 방 안에서 함께 거주하고, 주인의 침상 아래서 쉬는 모습까지 표현되어 있습니다. 수천 년 전부터 이미 개는 ‘도구’가 아니라, 인간 곁에 자리를 부여받은 생명이었습니다. 문자도 없고 기록도 없던 시대, 개는 그저 자연 속을 떠돌았지만, 이집트 문명에 이르러서는 사람의 삶 속 한 주체로 등장합니다. 개가 인간 곁을 떠나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인간이 개와 함께 살기로 선.. 2025. 10. 23. 이전 1 다음